규림요양병원


 
  꼼꼼함 vs 강박증?​ '이 증상' 있는지 없는지 ...
 작성자 : 홍보담당자
작성일 : 2024-04-15     조회 : 208  
 관련링크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4/12/2024041201989.html [111]

꼼꼼함 vs 강박증?​ '이 증상' 있는지 없는지 보면 안다

20대 비교적 젊은 연령층에게 잘 발생하는 정신질환이 있다. 강박장애다. 강박장애는 강박사고, 강박행동을 보이는 정신질환이다. 강박사고는 원하지 않는 생각, 충동, 장면이 반복적으로 떠오르는 것이다. 강박행동은 강박사고나 특정 규칙에 따라 일어나는 반복적인 행동을 말한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정석 교수​는 "​예를 들어 집에 가스 불이 켜져 있어 화재가 날 것이라는 생각이 반복적으로 떠오르는 것이 강박사고이고, 이런 강박사고에 따른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지속해서 가스 불이 꺼져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강박행동"이라며 "강박행동은 일시적으로는 불안을 누그러뜨리고 심리적 안정을 주지만 궁극적으로는 불안을 해소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은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소모하게 하고 학업, 직업 등 여러 영역에서 심각한 장애를 유발한다"고 말했다.

◇강박장애, 20대 환자 가장 많아
강박장애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손에 세균이 있다는 생각이 계속 떠올라 불안해지고 그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하루에도 수십 번씩 손을 씻는 것과 같은 '청결강박'과 문 이 잘 닫혔는지, 가스 불이 잘 꺼졌는지 등을 자꾸 확인하는 '확인강박'이 있다. 그 외에도 물건이 바르게 배열됐는지 반복적으로 확인하는 '대칭·정렬 강박'​, 필요 없는 물건을 계속 모으는 '수집강박'이 있다.

2021년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강박장애로 치료받은 환자 중 20대가 28.3%로 가장 많았다. 20대가 특히 많은 이유는 10대 후반이나 20대 초반에 발병했을 때 치료받지 않아 악화하다가 일상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로 심해져서 20~30대에 병원을 찾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 20대는 막 청소년기에서 벗어나 성인에게 주어진 역할들을 수행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미래에 대한 불안감, 학업, 직장 생활에서의 어려움 등이 스트레스로 작용하는 것도 영향을 미친다. 이정석 교수는 "강박장애는 많은 사람에게 생소할 수 있지만 평생 유병률이 2~3% 정도로 비교적 흔하다"며 "소아청소년기에는 남자가 여자보다 흔하고 성인기에는 여자가 남자보다 흔한 편"이라고 말했다.

◇꼼꼼함과 달리 일상생활 장애 유발
강박장애는 전문의의 진찰 후 임상적 기준에 따라 진단이 내려진다. 진단 기준으로는 DSM(Diagnostic and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 매뉴얼)-5라고 하는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이 있다. 강박장애로 진단되기 위해서는 강박사고 또는 강박행동이 있어야 하며 무엇보다 그러한 증상이 시간을 소모하게 하거나, 심각한 고통을 유발하거나, 사회적·직업적 영역에서 장애를 초래해야 한다. 매사에 꼼꼼하고 일 처리나 자기관리를 완벽하게 하는 사람을 두고 강박장애가 아니냐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한 꼼꼼함과 완벽주의가 사회적·직업적으로 장애를 주지 않는다면 강박장애라고 보기는 어렵다.

강박장애는 생물학적인 원인과 심리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생물학적 원인으로는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세로토닌 시스템의 이상과 뇌의 전두-선조 신경회로의 기능적 이상이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심해지면 강박증상이 악화하는 양상이 여러 연구에서 확인돼 심리적인 원인도 강박증상에 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치료받지 않으면 우울증으로 이어지기도
현재 입증된 강박장애의 특별한 예방법은 없다. 다만 스트레스가 심하면 강박증상이 악화할 수 있어 평소에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는 게 좋다.

강박장애 치료로는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가 도움이 된다.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약물인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는 우울증에도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강박장애를 치료할 때는 우울증보다 고용량의 약물이 필요하다. 약물치료를 시작하고 일반적으로 4~6주 후 효과가 나타나는데, 때에 따라 최대 8~16주 후 효과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정석 교수는 "이 외에도 다양한 약물이 존재하고 개인에 따라 약물 반응·부작용 발생에 차이가 있어 인내를 가지고 약물치료에 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인지행동치료에는 완벽주의, 과도한 책임감 등 강박장애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생각들을 좀 더 현실적인 생각으로 바꾸어보는 인지치료와 행동치료가 포함된다. 행동치료로는 '노출 및 반응방지' 기법이 대표적이다. '노출'은 강박 증상을 유발하는 자극에 노출하는 것을 말하며, 청결강박이 있는 사람이 더러운 물건을 만지는 것이 한 예다. '반응방지'는 강박증상을 유발하는 경우에도 강박행동을 하지 않고 견디어 보는 것이다. 청결강박이 있는 사람이 더러운 물건을 만지고 난 뒤 손을 씻지 않고 지내보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 강박증상이 유발돼도 강박행동을 하지 않고 견디다 보면 강박행동 없이도 생활을 유지할 수 있음을 경험하고, 이후로는 강박행동 없이 지내는 데 점점 익숙해진다.

이정석 교수는 "강박장애는 저절로 좋아지는 경우는 거의 없어 치료받지 않으면 대부분 증상이 지속되고, 심한 불안을 유발한다"며 "심지어 불안감을 달래기 위해 술이나 약물에 의존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강박장애가 지속되다 만성화되면 우울증, 양극성장애 등 기분장애가 동반되기도 하며 심한 경우 자살 사고, 자살 시도로 이어지기도 한다"며 "강박장애를 가진 사람 입장에서는 병원에 가는 것이 꺼려지거나 치료가 될지 의심이 가기도 하겠지만 일단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보고 치료 방향을 결정할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4/12/202404120198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