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림요양병원


 
  ‘이곳’ 틀어지면 아랫배 나온다?
 작성자 : 홍보담당자
작성일 : 2025-02-17     조회 : 112  
 관련링크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13/2025021302884.html [57]

‘이곳’ 틀어지면 아랫배 나온다?

골반이 앞으로 기울어진 '골반전방경사'라면 다이어트를 해도 유독 뱃살은 잘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엉덩이는 마치 오리 엉덩이처럼 튀어나온 체형으로 바뀌기도 한다.

골반전방경사가 있으면 골반이 틀어진 채로 균형을 잡으려다 보니, 허리와 등에 통증이 생긴다. 신체 하중이 허리에 실려 척주기립근과 장요근이 과도하게 긴장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복근과 대둔근에는 힘이 실리지 않아 약화한다. 심해질수록 골반이 외관으로 보일 정도로 뒤로 빠지고, 뱃살은 더 앞으로 쌓인다. 고관절과 무릎에도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골반전방경사는 앉아있는 시간이 길거나 평소 하이힐을 자주 신는 사람에게 잘 나타나고, 신체 구조상 남성보다 여성에게 많이 발생한다.

본인이 골반전방경사인지 확인하려면 뒤통수와 발뒤꿈치를 벽에 붙이고 서보자. 이때 허리를 펴려고 애쓰지 말고, 평소처럼 자연스럽게 선다. 허리와 벽 사이의 틈에 손을 넣었을 때, 손이 두 개 이상 들어갈 정도로 공간이 넉넉하다면 골반전방경사를 의심해야 한다. 허리 곡선이 정상인 사람은 손이 하나 정도 들어간다. 만약 아예 손이 들어가지 않는다면, 골반이 뒤로 기울어진 골반후방경사일 수 있다. 골반후방경사는 앉을 때 엉덩이를 앞으로 빼고 앉는 습관을 지닌 사람에게 잘 발생한다.

골반전방경사는 복근, 대둔근 단련 운동으로 완화할 수 있다. 대표적인 복근, 둔근 단련 운동으로는 ▲엎드린 채 다리를 위로 구부리는 레그컬 ▲서서 배 전체에 힘을 주는 드로우인 ▲무릎을 세우고 누운 뒤, 엉덩이를 조이면서 올려주는 브릿지 ▲손바닥을 바닥에 대고 엎드린 뒤 팔꿈치를 굽혀 몸을 지탱하는 플랭크 등이 있다.

생활 습관을 교정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한쪽 다리에만 힘을 주고 서거나, 무거운 가방을 한쪽 어깨에만 매거나, 다리를 꼬고 양반다리를 하는 등 골반이 틀어질 수 있는 행동은 삼간다. 골반 중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골반 중립은 골반을 앞으로 내밀었다가 천천히 뒤로 뺄 때 가장 편안한 위치로, 골반이 틀어져 있을 땐 먼저 골반 중립을 찾는 연습을 반복해 익혀야 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13/2025021302884.html